테슬라 ETF 수익률 -25%? 액티브·레버리지 ETF의 함정과 투자 주의점
테슬라 ETF 수익률이 -25%로 급락! 액티브 ETF와 레버리지 ETF의 특징, 투자 위험을 알아보고, 투자설명서 확인법을 정리했습니다.
액티브 ETF란?
액티브 ETF는 펀드매니저가 최대 30% 자율운용해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ETF다. 패시브 ETF(지수 추종)와 달리 레버리지, 파생상품, 선물, 옵션 등을 편입 가능하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액티브 ETF 순자산총액(AUM)은 2021년 4.7조 원에서 2025년 67.1조 원으로 15배 성장, 전체 ETF 비중 34.8%를 차지한다.
- 예시: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레버리지 ETF 30%), RISE 미국30년국채액티브(TMF 15%).
- 특징: 투자설명서에 “테마 관련 ETF·파생상품 활용” 명시, 레버리지 ETF 편입 빈번.
- 장점: 강세장 초과수익(2~3배 가능).
레버리지 ETF의 특징과 위험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테슬라, MS, 엔비디아 등) 수익률을 1.5~3배 추종하며, 일일 리밸런싱으로 단기 고수익을 노린다. 하지만 약세장 손실도 2~3배 확대되며, 횡보 시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다.
주요 레버리지 ETF
티커 | 운용사 | 추종 | 수수료 | 비고 |
---|---|---|---|---|
TSLL | Direxion | 테슬라 1.5배 | 0.95% | 배당 6%, 한국인 33% 보유 |
TSLT | T-Rex | 테슬라 2배 | 0.95% | 2023년 상장, 변동성↑ |
TSL3 | Leverage Shares | 테슬라 3배 | 1.15%↑ | 영국 ETP, 개인 비추 |
MSFU | Direxion | MS 2배 | 0.95% | ACE 구글밸류체인 편입 |
위험성
- 변동성: 테슬라 10%↓ → ETF -25% 가능(ACE 테슬라밸류체인, 3개월 -26.89%).
- 구조적 손실: 일일 리밸런싱으로 지수 횡보 시 손실(10%↓ 후 10%↑ → -1%).
- 수수료: 0.95~1.15%, 패시브 ETF(0.3~0.5%)보다 2~3배↑.
- 투명성: 상품명에 “레버리지” 미표시, 투자설명서 확인 필수.
최근 테슬라 ETF 수익률
2025년 테슬라 주가는 1분기 매출 9%↓, 순이익 71%↓로 4월까지 -40% 하락 후, 3분기 호실적 전망(판매 20~30%↑)으로 6개월 +33.74% 반등했다. 하지만 테슬라 ETF 수익률은 극단적이다.
수익률 비교
ETF | 1년 수익률 | 3개월 수익률 | 비고 |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 +37.26% | -26.89% | 레버리지 30%, 관세 쇼크 |
KODEX 테슬라밸류체인FactSet | +15.18% | -2.82% | 안정성↑, 테슬라 27.3% |
TSLL | +140% (최대) | -80% (1월) | 1.5배, 한국인 33% |
KODEX 테슬라커버드콜 | -6.8% | 미공개 | 채권 70%, 안정형 |
관세 쇼크 영향
미국 관세정책(2025년)으로 글로벌 증시 약세, 레버리지 ETF 손실 2배 확대. 예: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지수 -13.59% vs ETF -26.89%.
투자 주의점
투자 위험을 줄이려면 액티브 ETF와 레버리지 ETF의 구조를 이해하고, 투자설명서를 확인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단기 매매용으로 활용하고, 포트폴리오 비중 10~20%를 권장한다.
확인 사항
- 투자설명서: 레버리지 ETF 편입 비율(예: 14.38%~30%), 위험등급(1등급: 매우 높음).
- 위험 관리: 변동성 큰 상품, 장기 보유 비추, 단기 급등락 예측 필요.
- 국내 규제: 레버리지 ETF 상장 불가, 해외 직구↑, 한국거래소 확인.
전문가 조언
“이름이 비슷해도 구성 종목에 따라 위험등급 2~4등급 차이. 레버리지 ETF는 주포(전문 투자자) 대비 개인이 불리.” (자산운용사 관계자)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액티브 ETF와 패시브 ETF 차이는?
A: 액티브 ETF는 30% 자율운용(레버리지 등)으로 초과수익 추구, 패시브 ETF는 지수 추종.
Q2. 레버리지 ETF는 왜 위험한가요?
A: 일일 리밸런싱으로 횡보 시 원금 손실, 약세장 손실 2~3배, 수수료 1%↑.
Q3. 테슬라 ETF 수익률이 -25%인 이유는?
A: 관세 쇼크로 테슬라 10%↓, 레버리지 ETF(2~3배) 편입으로 손실 확대.
Q4. 안전한 투자법은?
A: 투자설명서 확인, 비중 10~20%, 단기 매매, 전문가 상담.
결론: 투자설명서로 위험을 줄여라
테슬라 ETF의 -25% 수익률은 액티브 ETF와 레버리지 ETF의 높은 변동성에서 비롯된다. 강세장 초과수익(37.26%) 매력적이지만, 약세장 손실(-26.89%)도 크다. 투자 위험을 줄이려면 투자설명서로 레버리지 편입 비율과 위험등급을 확인하고, 단기 매매로 접근해야 한다. 한국거래소에서 최신 ETF 정보를 확인하세요!
한국거래소
공정한 자본시장, 비상하는 대한민국
www.krx.co.kr
출처
- 한국경제, www.hankyung.com, 2025.05.04
- Simple Investment, simpleinvest.co.kr, 2024.02.04
- 서울경제, www.sedaily.com, 2022.08.11
- 시사저널e, www.sisajournal-e.com, 2024.12.05
- 매일경제, www.mk.co.kr, 2024.08.18, 2025.01.14
- smartmoneyant.com, 2023.10.20
- 퍼블릭뉴스, www.psnews.co.kr, 2025.04.30
본 글은 2025년 5월 5일 기준 정보, 투자 전 전문가 상담 필수.
'식이 금융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배금 vs 배당금: 차이와 투자 가이드 (1) | 2025.05.08 |
---|---|
ISA 계좌로 미국 ETF 투자: 방법과 장단점 완벽 정리 (2) | 2025.05.07 |
ISA 계좌란? 납입한도, 비과세, 분리과세 완벽 정리 (6) | 2025.05.05 |
미국 귀족배당주: 안정적 배당주 투자의 모든 것 (3) | 2025.05.02 |
국내 ETF 계좌 개설 방법 완벽 정리! 초보자도 쉽게 시작 (3) | 2025.05.01 |